자료흐름도 상에 있는 자료를 더 자세히 정의하고 기록하는 것이며, 이처럼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를 데이터의

데이터 또는 메타 데이터라고한다.

요구사항 분석에서 자료의 흐름 및 변환 과정과 기능을 도형 중심으로 기술하는 방법으로 버블 차트라고도 한다.

 

소프트웨어 개발 실제적인 첫단계로 개발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문서화 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의 생산물을 확인하고 소프트웨어 통제, 변경 상태를 기록하고 보관하는 일련의 관리 작업이다.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예상되는 각종 돌발 상황을 미리 예상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는 일련의 활동이다.

품질 보증: 어떠한 소프트웨어가 이미 설정된 요구사항과 일치하는가를 확인하는 데 필요한 개발 단계 전체에 걸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작업

정형 기술 검토: 가장 일반적인 검토 방법으로 소프트웨어 기술자들에 의해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품질보증 활동

검토 회의: 소프트웨어 개발의 각 단계에서 개최하는 기술 평가 회의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와 같은 작은 다위를 검토하는것

검열: 검토 회의를 발전시킨 형태로,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 산출된 결과물의 품질을 평가하며 이를 개선시키는 데 사용함

명확하게 정의된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의미하며, 소프트웨어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 항목 

정확성: 사용자의 요구 기능을 충족시키는 정도

신뢰성: 정확하고 일관된 결과를 얻기 위해 요구된 기능을 오류 없이 수행한는 정도

효율성: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의 소요정도

무결성: 허용되지 않는 사용이나 자료의 변경을 제어하는 정도

사용 용이성: 사용에 필요한 노력을 최소화하고 쉽게 사용할수 있는 정도

유지보수성: 변경 및 오류 사항의 교정에 대한 노력을 최소화 하는 정도

유연성: 새로운 요구사항에 맞게 얼마만큼 쉽게 수정할 수 있는가 하는 정도

시험역량: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보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시험할 수 있는 정도

이식성: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에서도 운용 가능하도록 쉽게 수정할 수 있는 정도

재사용성: 전체나 일부 소프트웨어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가 하는정도

상호 운용성: 다른 소프트웨어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정도 

분산형 팀:

 팀원 모두가 의사 결정에 참여하는 비이기적인 구성 방식

 

중앙 집중형 팀:

한 관리자가 의사결정을 하고, 팀 구성원들은 그 결정을 따르는 구성 방식으로 책임 프로그래머 팀이라고도 함

 

계층 적팀:

분산형 팀 구성과 중앙 집중형 팀 구성을 혼합한 형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