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openssl-library.org/

 

OpenSSL Library

What and Who The OpenSSL software library is a robust, commercial-grade, full-featured toolkit for general-purpose cryptography and secure communication. It is developed under the OpenSSL Mission with support from the OpenSSL Foundation and OpenSSL Corpora

openssl-library.org

다운로드 

 

os: 리눅스  (우분트) 

open ssl 설치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openssl libssl-dev

 

키 생성 후 암호 입력 

openssl genrsa -aes256 -out private_key.pem 2048

csr 생성 

openssl req -new -key private_key.pem -out request.csr

csr 정보 입력후  완료

Country Name (2 letter code) [AU]: KR
State or Province Name (full name) [Some-State]: Seoul
Locality Name (eg, city) []: Seoul
Organization Name (eg, company) [Internet Widgits Pty Ltd]: My Company Inc.
Organizational Unit Name (eg, section) []: IT Department
Common Name (e.g. server FQDN or YOUR name) []: www.example.com
Email Address []: admin@example.com

A challenge password []: 
An optional company name []:

 

아 ㅋㅋ 겨우 골드1 찍엇네요... 후 목표 플레5까지 이제 한걸음 남았네요. ㅎㅎ 
상당히 오래걸렸고 특히나 구현문제들이 난이도가 골드 3~4 수준 넘어가면 기본 3일 이상 걸리는 문제들도 많았습니다.(정말 길면 일주일 넘는것도 ㅜㅜ)
ㅠㅠ 
이제 좀 속도가 붙어서 문제만 잘 이해하면 생각보다 한 1~2시간 걸리는것같고 늦어지면 하루 이틀은 ... 걸리네요 ㅎㅎ 

 
 
 
지난번과 다르게 구현쪽이 상당히 많이 올라갔습니다.
이젠 자료구조나 그리드도 좀 슬슬 올라가고 있고요. ㅎㅎ 뿌듯하네요. 그래도 갈수록 프로그램짤때 메모리나 시간복잡도에 대해서 생각하면서 짜는것같네요 ㅎㅎ 

 
 
후.. 이제 플레가 얼마 안남은것 같다고 느껴지네요 ㅎ ㅎ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3410442/jenkins-installation-windows-10-service-logon-credentials

 

jenkins installation windows 10 "Service Logon Credentials"

I don't know Jenkins at all. I want to install Jenkins on Windows 10. I downloaded the installer and ran it, but I have a problem. I don't know what to enter in the "Account" and "Pa...

stackoverflow.com

 

해결!! : 제어판 -> 관리 도구  -> 로컬 정책 -> 사용자 권한 할당 -> 서비스로 로그온 -> 사용자 또는 그룹 추가에서 입력할 사용자 추가할 것.

'끄적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 ssl 설정  (0) 2025.01.05
백준 골드 1 후기  (1) 2024.04.04
Jenkins????  (0) 2024.01.09
TLS 1.3 에 대해서  (0) 2024.01.04
이클립스 프로젝트에서 인텔리제이 ultimate 프로젝트로 import하기  (0) 2023.10.06

먼저 젠킨슨이 정확하게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야할것 같습니다.

 

기존에 도커랑 비슷한건가 라고 알고 있었는데....완전 잘못알고 있었습니다( ㅠㅠ  ㅎㅎ )

 

기능 구현은 주말에 할 예정이고요.

 

일단은 정확하게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 해보겠습니다.

 

먼저 CI/CD란?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CI/CD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rgration / CI ) 지속적 배포(continuous delivery, CD)가 결합한 사례를 의미한다. CI/CD는 소프트웨어의 개발, 테스트와 배포를 모두 통합함으로써 소프트웨어 버그를 쉽게 찾아낼 수 있으며, 더 빠른 배포 주기를 가질 수 있게 만들어 준다.

-위키-

 

젠킨슨이란?

오픈 소스 자동화 서버인 Jenkins는 모든 프로젝트의 구축, 배포 및 자동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젠킨슨 링크:

https://www.jenkins.io/

 

Jenkins

Jenkins – an open source automation server which enables developers around the world to reliably build, test, and deploy their software

www.jenkins.io

 

Jenkins는 Java로 제작된 오픈 소스 CI(Continuous Integration) 툴이다. 본래 Hudson이라는 이름의 소프트웨어였으나 오라클과의 상표권 분쟁으로 인하여 Jenkins라는 이름으로 바꾸었다. Tomcat 같은 Servlet Container 위에 돌아가는 서버 기반 시스템이다. AccuRev, CVS, Subversion, Git, Mercurial, Perforce, Clearcase, RTC와 같은 SCM 툴을 지원한다. 또한 SonarQube 등의 코드 품질관리 플랫폼과 셸 스크립트, 윈도우 배치 프로그래밍, Ant/Maven/Gradle 기반 프로그램도 지원한다. 원 제작자는 카와구치 코스케로 라이선스는 MIT 허가서를 따른다.

-나무위키-

 

정확하게는 딱 봐서 감이 안와서요.

 

파이프라인은 아래 이미지에 있습니다.(정확한 이해는 이번주 주말에 프로젝트와 연결하면서 파이프라인을 따라가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출처: https://www.jenkins.io/doc/book/pipeline/

 

Pipeline

Jenkins – an open source automation server which enables developers around the world to reliably build, test, and deploy their software

www.jenkins.io


TLS 1.3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TLS 1.3은 TLS 프로토콜의 최신 버전입니다.HTTPS 등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암호화를 위해 사용하는 TLS는 SSL의 최신 버전입니다.TLS 1.3은 보안성이 떨어지는 오래된 암호화 기능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TLS 핸드셰이크 등의 속도를 향상시켰습니다.
 
TLS 1.3의 장점
간단히 말해, TLS 1.3은 TLS 1.2보다 더 빠르고 안전합니다. TLS 1.3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변경 사항 중 하나는 TLS 핸드셰이크 작동 방식에 대한 업데이트입니다. TLS 1.3의 TLS 핸드셰이크는 두 번이 아이라 한 번만 왕복(즉, 앞뒤로 통신)하면 되므로 프로세스가 몇 밀리초 단축됩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이전에 웹 사이트에 연결한 적이 있는 경우, TLS 핸드셰이크는 왕복 횟수가 0이 됩니다. 따라서 HTTPS 연결 속도가 빨라져 대기 시간이 단축되고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이 개선됩니다.

TLS 1.2의 주요 취약점 중 상당수는 여전히 지원되는 오래된 암호화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습니다. TLS 1.3은 이러한 취약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므로 사이버 공격에 덜 취약합니다.
 
https://www.cloudflare.com/ko-kr/learning/ssl/why-use-tls-1.3/
 

사내에선 이클립스를 사용하다가 이번에 pc를 교체하게 되어서 인텔리제이로 옮기는 작업을 했습니다.
물론 이클립스에서도 작업이 그대로 가능하고 인텔리제이 ultimate 에서도 동일하게 할수 있는게 목표였습니다. 그리고 현재 전부 완료하였습니다.
 
ps. 무료 버전인 커뮤니티 버전은 아직 해보지 않아서 기회되면 그것도 해보겠습니다.
 
1. 인텔리제이를 열어서 file 목록 new->project from exisiting sources를 선택합니다.

2. 이클립스 프로젝트 위치를 찾습니다.
제 이클립스 프로젝트는 egoveFramework 3.5 전자정부 프레임워크 입니다.

3.이클립스로 선택을 해주세요!

4. 이클립스의 프로젝트 경로를 확인을 합니다. 그리고 계속 next를 클해주세요!

5.next를 계속 누르다가 제 pc jdk 환경이 1.8이어서 1.8로 선택 해줍니다.

6.그러면 프로젝트들이 인텔리제이에 들어온걸 확인할수 있습니다.

6. 아래 하단에 보시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symbol 에러인데 라이브러리를 찾지 못해서 발생한 오류였습니다,
그래서 추가 외부 라이브러리를 직접 넣어줍니다.

7. file->project structure..를 선택합니다.

8.그러면 project structure 에서 libraries를 선택을 합니다. 외부 라이브러리를 추가 해주기 위함입니다.

9.+버튼을 눌러서 java를 클릭해줍니다.

10. 경로에 있는 필요로한 라이브러리를 추가

11.그리고 facets에 가서 web을 선택해줍니다.

12.프로젝트가 모듈쪽으로 들어옵니다.

13.다시 모듈로가서 톰켓서버를 추가해줍니다.

14. Dependecies 텝을 클릭후 +키를 눌러줍니다. 그리고 라이브러리를 눌러줍니다.

15.만들었던 라이브러리를 추가합니다.

16. 그러면 외부 라이브러리가 적용되었습니다.

17.이제 실행 하기 위해 톰캣을 설정해줍니다. 상단에 current file ->edit configurations...클릭해줍니다.

18. + 키를 눌러주고 톰캣서버 local을 선택해줍니다.

19. 당연히 실행하면  fail이 발생할겁니다. 

20. 인텔리제이에서 artifact를 만들어 줘야합니다. 그래야 war 파일이 생성되서 톰켓이 실행 됩니다.

21. include in project build는 꼭 체크 하시고요 아래와 같이 모듈이 들어왔습니다. apply->ok 클릭 

22. 톰캣 서버 아래 화살표 체크를 클릭후 edit..를 클릭합니다.

23.deployment 탭으로 이동후 +키를 눌러주고 artifact..를 눌러줍니다.

24.build를 먼저 확인후에 빌드가 잘되는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25. 톰캣을 실행합니다.!! 그러면 웹사이트는 실행이됩니다!

 

'끄적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  (0) 2024.01.09
TLS 1.3 에 대해서  (0) 2024.01.04
백준 골드 2 달성 후기  (0) 2023.09.28
백준 골드 3 달성 후기  (0) 2023.08.19
백준 골드 5 달성 후기  (0) 2023.08.06

골드3에서 골드2 가는데 거의 한달반? 걸렸네요;;;;
슬슬 문제 하나 푸는데도 기본3일이네요 ;;; 그리고 점수도 거의 3~4점 왠지 플래티넘 못풀면 점수를 크게 증가 시킬수 없는것같은데 골드도 ㅠㅠ 겨우 겨우 푸네요 ㅠㅠㅠㅠㅠㅠㅠ 이제 골드1까지 힘내보겠습니다.

구현이랑 그리디도 상당히 많이 풀었습니다 ㅎㅎ 

쉽지않네요 ㅠㅠ  

회사  공동  휴가( 5일)덕분에 골드 3찍엇네용 ㅎㅎ ㅠ ㅋㅋ 내 연차줘 ~~

 
이번에 골드3을 찍엇는데용. 클래스를 얻어서 보너스 점수? 날먹을 했습니다.

대략 150점 올랐네요;; 50점 정도 오를줄 알았는데 많이 오르네요
어... 이번엔 조금 dp랑 백트레킹위주로 좀 공부했습니다.
dp는 실버문제를 푸는데도 2~3일 걸린것도 많았습니다. 아예 모르는 개념도 있거나 잊어버린것들이 많더군요. 
LCS, LIS, 누적합 등등 그리고 백트래킹 기본문제들은 쉽게 풀었고요 
몇몇 골드문제들은 해결못한것들도 있습니다.(ㅠㅠ 진짜 모르겠더고요 한 일주일은  푼것같은데 ㅠㅠ ) 힌트를 봐도 해결이 안되서요.. 정답을 보니 아마 못풀었겠구나 했습니다. 멍청한 저는 노력이라도 해야죵 ㅠㅠ  어렵네요 ㅠ (언재쯤 골드문제를 자유롭게 풀까용... ㅎ)
그래도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다음엔 골드 1때 후기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플레 가는게 진짜 어렵다고 듣긴했습니다 ㅠ 평균 골드3 ㅠㅠ 지금 골드5도 버벅되는데 큰일이네요)
 
 ps 지난번보단 조금더 다양하게 알고리즘 풀려고 노력중입니다. ㅎ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