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것으로 용량이 작은 주기억장치를 마치 큰 용량을 가진것 처럼 사용하는 것으로 현재 사용되는 운영체제 가장 흔한 기법이다.
가상 기억장치 구현기법?
페이징 기법: 가상기억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프로그램과 주기억장치의 영역을 동일한 크기로 나눈후 나눠진 프로그램을
동일하게 나눠진 프로그램(페이지) 주기억장치의 영역에 적재시켜 실행하는 기법
세그먼테이션 기법: 가상 기억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다양한 크기의 논리적인 단위로 나눈후 주기억장치에 적재시켜 실행시키는 기법
주소 변환: 가상 기억 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이 주기억장치에 적재되어 실행될 때 논리적인 가상주소를 물리적인 실기억주소로 변환하는 것으로, 주소 사상또는 주소매핑이라함
'컴퓨터과학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콜 (0) | 2020.11.18 |
---|---|
<운영체제20>단편화/단편화 해결방법 (0) | 2020.10.23 |
<운영체제 19>기억장치 관리 전략 (0) | 2020.10.23 |
<운영체제 18> 교착상태 해결 방법 (0) | 2020.10.21 |
<운영체제17> 교착 상태 (0) | 2020.10.21 |